화농성한선염은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고름이 반복 발생하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조기 치료와 흉터 관리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화농성한선염 증상 치료 수술 실비여부 흉터관리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화농성한선염이란?
화농성한선염은 피부 깊숙한 모낭에 염증이 발생하며, 고름이 생기고 반복적으로 터지면서 통증과 흉터를 유발하는 만성 피부질환입니다. 주로 겨드랑이, 사타구니, 엉덩이, 항문 주변 등 땀샘이 많이 분포한 부위에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여드름처럼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고름주머니가 생기고, 염증이 반복되며 피부 밑에서 터널처럼 연결되는 누공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땀샘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지만, 현재는 모낭의 이상 면역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농성한선염 증상
- 단단한 붉은 멍울(종기)이 피부 속에 생깁니다.
- 점차 고름이 차면서 물렁해지고 통증이 심해집니다.
- 고름이 터져 악취를 동반한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재발이 매우 흔하며 동일 부위에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 만성화될 경우, 흉터, 피부 착색, 섬유화 조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하면 일상생활의 사회적 위축이나 우울감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화농성한선염 치료방법
1. 약물 치료
- 항생제: 초기에는 먹는 항생제 또는 항생제 연고로 염증 조절
- 비타민 A 유도체 (레티노이드): 여드름 치료제와 유사하게 사용
- 호르몬제: 여성 호르몬 불균형이 있는 경우 도움
- 면역조절제: 중증일 경우 염증 반응 억제를 위해 투여됨
- 생물학적 제제 (TNF-α 억제제 등): 최근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수술 치료
- 고름집이 반복되거나 누공이 형성된 경우, 병변 부위를 완전히 절제하고 염증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 절제 부위가 넓을 경우 피부이식이 필요할 수 있으며, 회복에는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3. 연고와 흉터 관리
- 항생제 연고(예: 무피로신)는 염증이 적을 때 초기 치료로 사용됩니다.
- 터널 형태의 고름 누출이 심한 경우에는 연고보다 의료기관 치료가 우선입니다.
- 수술 후에는 흉터 연고(실리콘 겔) 또는 흉터 패치,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해 피부를 재생시킬 수 있습니다.
- 흉터가 심한 경우 색소침착 관리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생활관리법
- 땀이 많이 나는 부위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
- 꽉 끼는 옷, 마찰이 심한 의류는 피하고 면 소재 옷 착용
- 비누보다는 pH가 낮은 저자극 세정제 사용
- 체중 관리와 금연은 재발을 줄이는 데 도움
화농성한선염 실비여부
화농성한선염은 실손의료보험(실비보험)에서 보장 대상이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조건에 따라 보험금 지급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화농성한선염 실비보험 보장 가능 여부
1. 질병코드가 명확한 경우
병원 진료 시 화농성한선염은 일반적으로 **L73.2 (Hidradenitis Suppurativa)**라는 피부질환 코드로 등록됩니다. 이는 질병 코드가 명확하므로, 해당 코드로 외래 진료, 처방약, 수술, 입원 등에 대해 실비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2. 약물치료 시
피부과에서 항생제, 항염증제, 연고 등을 처방받았다면, 해당 약값과 진료비는 보통 실비 보장 범위에 포함됩니다. 비급여 항생제를 썼을 경우 일부 제외될 수 있으니 약 처방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 수술 치료 시
염증 병변 절제 수술을 진행했다면, 수술비용은 실비에서 일반 질병 수술비 항목으로 청구 가능합니다.
마무리
화농성한선염은 단순한 피부 트러블이 아닌 만성적 염증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재발과 합병증을 줄이는 핵심입니다. 피부에 반복적으로 종기나 고름이 생긴다면 즉시 피부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성섬유종 제거 원인 실비여부 총정리
연성섬유종 제거 원인 실비여부 총정리
연성섬유종, 일명 쥐젖은 목·겨드랑이에 잘 생기는 피부 양성 종양입니다. 원인, 제거 방법, 실비 보험 적용 여부까지 정리했습니다.연성섬유종이란?연성섬유종(Soft fibroma)은 표피 및 진피층에
demonst1124.tistory.com